수익사업  /  제품출시계획 (의약품 제외)

제품출시계획 (의약품 제외)

기능성식품

당사 면역소재는 탐식작용 및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한 염증억제 및 염증종결 작용기전의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적응증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당사는 면역소재를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개별인정(식약처)을 신청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해외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위해서 국가별/지역별 식품인증을 순차적으로 취득할 계획이며, 최우선적으로 미국 FDA의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및 NDI(new dietary ingredient) 인증 신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 현지의 컨설팅업체와 사전협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능성화장품

면역소재가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히 아토피피부염 화장품소재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앞으로 남춘천공장이 준공되면 본격적으로 제품(소재)을 생산하여 국내 화장품업체에 B2B 공급할 계획입니다. 

이 외에도 당사의 면역소재와 다른 기능성소재를 결합한 기능성 화장품소재를 추가 개발하고 있으며, 필요시 국내 화장품업체와 공동연구(특허공유 포함)를 통해 특별한 기능성을 가진 소재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기타소재

이 외에도 당사는 뛰어난 발효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Schizophyllum commune 유래의 시조필란 및 Streptococus zooepidemicus 유래의 히알루론산 등의 미생물 세포외다당체 유래의 바이오소재 생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시조필란

시조필란(Schizophyllan)은 치마버섯(Shizophyllum commune) 균사체 배양시 세포외로 분비되는 β-Glucan 성분의 세포외다당체로, 보습, 미백, 주름개선, 피부면역 등 다양한 기능성화장품 소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화장품업계의 신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독자적인 미생물 배양기술을 기반으로 치마버섯균사체를 배양하여 TLR4 agonist의 고면역활성 세포외다당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기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치마버섯균사체배양 유래 β-Glucan은 작용부위가 Dectin1으로 Th17 면역 유도를 통한 염증 발생의 우려가 있는 반면, 당사 소재는 작용부위가 TLR4로 TRIF pathway 활성화를 통해 기존 소재 대비 피부면역 증진 및 염증발생 억제 효능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신공장 준공 시 바로 생산할 수 있으며, 차별적인 효능우위를 갖고 있으므로 국내시장에서의 매출거래처 확보에 별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조필란은 석유채굴에서 EOR(enhanced oil recovery) 공법을 적용시 생산성이 우수한 친환경 바이오폴리머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EOR이란 석유회수증진 기술로서, 원유를 채굴하다보면 압력이 하락하여 채굴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물이나 가스, 계면활성제나 폴리머 등을 주입하여 석유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기술을 EOR  공법이라고 합니다. EOR 공법은 이미 석유채굴이 많이 진행된 성숙 유전에서 적용되므로 유전탐사 실패의 위험 없이 잔존 오일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조필란은 다양한 바이오폴리머 중에서 특히 EOR 공법에 적합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시조필란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시조필란은 당사에게 유망한 수익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조필란을 EOR 소재로서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규모 플랜트가 요구되므로 당사는 직접생산 보다는 국내 대기업 또는 해외 다국적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은 뛰어난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으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부문에 활용성이 높아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가 계속 확대되고 있는 제품으로, 당사는 지난 2012년부터 강원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원료생산 사업을 준비해 왔으며 당사 고유의 플랫폼 기술을 토대로 이미 고품질(분자량 200만 Dalton)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Fill&draw 배양공정 기반의 고생산성(15g/L/day)을 확보하였습니다. 당사는 히알루론산이 위 면역소재와 함께 당사 수익사업의 핵심품목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순도가 높은 기능성 화장품원료의 개발은 기술적으로는 이미 완료되어 있습니다. 화장품용 원료로서의 히알루론산 생산 및 판매에는 별도의 인허가 절차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앞으로 대량생산하여 시장에 진출하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 면역소재와 결합한 기능성 화장품소재로 개발

면역소재를 정제하여 화장품소재로 개발하는 경우 면역소재 자체적으로도 효과가 있지만, 시조필란 또는 히알루론산 등과 혼합할 경우 피부에서 면역소재의 활성이 더 높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일 수가 있습니다. 현재 면역소재의 정제도가 높아지고, 히알루론산 및 시조필란도 자체적으로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혼합한 혼합소재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현재 면역소재의 정제도 및 경제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며, 시조필란 및 히알루론산의 경우에도 신공장 준공 시 바로 생산 가능합니다.